안녕하세요. mybestinvesting 입니다. 2025년의 2분기도 빠르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최근 결혼, 이사 준비, 이직 준비 등 개인사의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이번 2분기 투자 보고서 결산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2분기 시장 평가와 개인적인 이야기
관세 이슈로 증시 약세를 보인 2025년 1분기에 비해서 2025년 2분기는 굉장히 많은 상승을 보였습니다.
탄핵 후 대한민국의 21대 대통령이 선출되었습니다. 글로벌 정세는 여전히 이란-이스라엘 전쟁으로 복잡했지만, 코스피 / 코스닥은 1분기 대비 700포인트, 100포인트 이상 상승하며 연일 고공 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 코스닥 | |||
초 | 말 | 초 | 말 | |
2024년 1분기 | 2804.31 | 2770.67 | 847.15 | 803.78 |
2024년 2분기 | 2777.68 | 2674.31 | 813.53 | 767.66 |
2024년 3분기 | 2681.00 | 2593.27 | 769.21 | 763.88 |
2024년 4분기 | 2561.69 | 2404.77 | 762.13 | 665.97 |
2025년 1분기 | 2398.94 | 2481.12 | 686.63 | 672.85 |
2025년 2분기 | 2521,39 | 3055,94 | 691.45 | 781.56 |
정치적 불안정의 해소와 상법 개정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강력한 유동성 공급의 기대감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에 활력이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지주사와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솟아오른 기대감이 다른 종목들에게도 확산되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방산은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최근 스테이블 코인과 IT 업체와의 연계성 기대감으로 테마처럼 카카오와 네이버가 연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고객예탁금이 충분한 것으로 보이며 개인들의 증시 매수 여력이 아직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해 투자 수요 역시 증시로 쏠림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2분기의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복잡한 대내외 상황 속에서 앞으로의 흐름을 지켜보는 것과 동시에 지속적인 기업 분석을 통해서 좋은 종목을 발굴하여 기회를 엿보는 것이 중요한 시기일 것입니다.
투자 성과
국내 주식 포트폴리오
보유하고 있었던 여유자금을 통해서 신규로 종목들을 매수하였습니다.
삼성전자, NAVER, 한미약품, 리노 공업을 신규 매수하였으며, HL만도를 일부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상법 개정을 토대로 증권사, 지주사로 쏠린 코스피, 코스닥의 활력들이 다른 섹터로도 흘러갈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특히, 한동안 소외받은 삼성전자와 네이버 카카오 등 다양한 대형주들에게도 한번의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으로 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적절한 종목을 발굴하기 전까지는 삼성전자 등을 매수하는 데 집중할 것 같습니다.
기업명 | 보유 수 | 비중 (%) | 현재가 | 평균 매입가 | 수익률 | 보유 기간 |
삼성전자 | 45 | 2.11% | – | 59,593원 | 2.03% | 18일 |
HL만도 | 146 | 3.67% | 32,650원 | 38,461원 | -15.11% | 2,629일 |
한미약품 | 5 | 1.12% | 289,500원 | 300,600원 | -3.69% | 24일 |
리노공업 | 36 | 1.41% | 50,700원 | 44,996원 | 12.68% | 24일 |
NAVER | 5 | 0.99% | 257,500원 | 259,500원 | -0.77% | 8일 |
상기 종목의 투자 보고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하기 링크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
HL만도 기업 분석 – 2024년 주가 전망, 자율 주행, 로봇, SW 통합 솔루션
해외 주식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은 한동안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주택 매수를 위해 많은 매도를 진행하였는데, 결과론적으로 잘 판 형국이 되었습니다.
엔비디아는 다시 시총 1위를 탈환한 것으로 보이고 앞으로 애플 보다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 보유하고 있는 종목들이 실적은 크게 변화가 없습니다.
미국 주식을 투자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환율은 최근 1364원까지 떨어지면서 안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3개월 평균보다 저렴해질 경우, 여유 자금으로 환전해 달려 보유랑을 늘려온 저에게는 최근 들어서 계속적으로 달러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목표한 액수가 된다면, 환전을 멈추고 종목 발굴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기업명 | 티커 | 비중 (%) | 현재가 | 평균 매입가 | 수익률 | 보유 기간 |
Apple Inc | AAPL | 6.93% | $201.08 | $62.44 | 222.03% | 2,453일 |
Applied Materials Inc | AMAT | 4.42% | $183.21 | $125.03 | 46.54% | 2,469일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AMD | 4.46% | $143.81 | $98.44 | 46.08% | 2,497일 |
Berkshire Hathaway Inc Class B | BRK.B | 5.02% | $485.68 | $290.94 | 66.94% | 2,462일 |
Delta Air Lines Inc | DAL | 0.51% | $49.59 | $40.30 | 23.04% | 1,940일 |
Palantir Technologies Inc | PLTR | 6.76% | $130.74 | $131.75 | -0.77% | 54일 |
Intuitive Surgical Inc | ISRG | 3.68% | $533.71 | $580.65 | -8.08% | 45일 |
Tesla Inc | TSLA | 5.58% | $323.79 | $330.61 | -2.06% | 2,481일 |
McDonald’s Corp | MCD | 5.03% | $291.55 | $175.61 | 66.02% | 2,460일 |
Meta Platforms Inc | META | 10.12% | $733.63 | $385.01 | 90.55% | 1,332일 |
Microsoft Corp | MSFT | 8.55% | $495.94 | $263.98 | 87.87% | 2,041일 |
NVIDIA Corp | NVDA | 10.88% | $157.75 | $11.96 | 1218.96% | 2,482일 |
Starbucks Corp | SBUX | 3.81% | $92.11 | $75.30 | 22.32% | 2,483일 |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SCHD | 14.28% | $26.39 | $27.60 | -4.37% | 870일 |
American Express Co | AXP | 4.37% | $317.19 | $271.44 | 16.86% | 414일 |
상기 종목의 투자 보고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하기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애플(AAPL) 기업 분석 – 2024년 1분기 실적, 주가 전망
마이크로소프트 (MSFT) 기업 분석 – 2024년 실적, 주가 전망
엔비디아(NVDA) 기업 분석 – 2024년 1분기 실적, 주가 전망
ISA 계좌를 이용한 배당투자 포트폴리오
과도하게 오른 증권주와 지주사의 일부를 매도하였습니다. HD현대, 대신증권, SNT 홀딩스를 매도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LX인터내셔널, 한화3우B를 신규 매수하였습니다.
또한, 고려신용정보, 이지홀딩스, HS애드, 한국기업평가,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를 추가로 매수하여 물량 확보에 집중해주었습니다.
기업명 | 비중 (%) | 현재가 | 평균 매입가 | 수익률 | 보유 기간 |
고려신용정보 | 7.54% | 10,290원 | 10,549원 | -2.46% | 2,186일 |
현대차2우B | 6.28% | 159,900원 | 116,284원 | 37.51% | 827일 |
삼성화재우 | 5.46% | 322,000원 | 189,579원 | 69.85% | 1,111일 |
우리금융지주 | 2.76% | 22,500원 | 15,676원 | 43.53% | 170일 |
대신증권 | 3.80% | 24,400원 | 14,280원 | 70.87% | 796일 |
SK텔레콤 | 3.12% | 56,200원 | 49,613원 | 13.28% | 806일 |
HD현대 | 3.91% | 126,800원 | 63,356원 | 100.14% | 1,010일 |
한국기업평가 | 2.73% | 98,500원 | 83,063원 | 18.58% | 691일 |
기아 | 4.07% | 97,700원 | 93,833원 | 4.12% | 201일 |
하나금융지주 | 5.71% | 84,200원 | 51,016원 | 65.05% | 607일 |
메리츠금융지주 | 2.14% | 118,400원 | 95,572원 | 23.89% | 233일 |
JB금융지주 | 5.30% | 20,600원 | 17,130원 | 20.26% | 207일 |
메리츠금융지주 | 1.82% | 112,200원 | 97,642원 | 14.91% | 316일 |
LX인터내셔널 | 2.79% | 31,000원 | 29,422원 | 5.36% | 17일 |
한화3우B | 0.76% | 39,200원 | 39,700원 | -1.26% | 1일 |
SNT홀딩스 | 0.72% | 55,100원 | 32,349원 | 70.33% | 99일 |
HS애드 | 2.30% | 7,690원 | 7,288원 | 5.52% | 116일 |
이지홀딩스 | 1.53% | 3,920원 | 3,301원 | 18.75% | 99일 |
상기 종목의 투자 보고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하기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고려신용정보 기업 분석 – 2024년 주가전망, 2022년 실적
개인연금
개인연금은 추가 납입없이 배당금과 분배금을 통해서 수량을 늘려주었습니다. 또한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상품을 판매하고 고배당 상품을 추가 매수해주었습니다.
기업명 | 비중 (%) | 현재가 | 평균 매입가 | 수익률 | 보유 기간 |
ARIRANG 고배당 | 8.39% | 18,810원 | 14,391원 | 30.71% | 909일 |
KODEX 미국나스닥100 | 4.86% | 20,400원 | 19,956원 | 2.22% | 145일 |
KODEX 미국S&P500 | 5.04% | 19,120원 | 19,381원 | -1.35% | 145일 |
TIGHER 미국 S&P 500 | 5.22% | 20,775원 | 21,924원 | -5.24% | 909일 |
TIGER 미국나스닥100 | 5.02% | 135,625원 | 140,906원 | -3.75% | 692일 |
투융자
1분기 대비 변경사항이 없습니다.
기업명 | 비중 (%) | 현재가 | 평균 매입가 | 수익률 | 보유 기간 |
맥쿼리인프라 | 1.59% | 11,520원 | 12,362원 | -6.81% | 1,240일 |
전체 자산 성과 및 배당금 추이
신혼 여행 등으로 지출이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자산들이 많이 상승해주어 전체 자산은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연월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2025년 5월 | 2025년 6월 |
자산 | ₩264,872,511 | ₩315,384,095 | ₩1,163,768,753 | ₩1,162,370,884 | ₩1,162,370,884 | ₩1,268,021,826 |
자기자본 | ₩264,872,511 | ₩315,384,095 | ₩477,768,753 | ₩476,370,884 | ₩476,370,884 | ₩626,608,070 |
부채 | ₩0 | ₩0 | ₩686,000,000 | ₩686,000,000 | ₩686,000,000 | ₩686,000,000 |
자산증가율 | 3.41% | 19.07% | 269.00% | 143.29% | 144.01% | 175.54% |
2016년 부터 2021년 기록이 없는 점은 양해 부탁 드립니다.
년도 | 실제배당금 | 증가율 |
2022 | 1,763,395 | N/A |
2023 | 3,131,509 | 77.6% |
2024 | 5,256,675 | 67.9% |
2025 | 3,455,947 | -34.3% |
2025년 2분기까지 현재 수령받은 배당금은 3,455,947원으로 주식 계좌의 총 자산이 감소하여 올해 예상 배당은 작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앞으로 와이프와 열심히 부채도 갚으면서 배당성장주들도 적립식으로 매입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를 마치며
지금까지 2025년 2분기 투자보고서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금융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의 연체보다 기업들의 연체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연체가 자칫 금융권의 유동성 저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직 메인 금융사들에게는 타격은 없지만, 저축은행과 보험사 등에서 신용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예의주시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상으로 투자보고서를 마칩니다.
mybestinvesting 배상
참고
다른 투자 보고서를 같이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