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003540) 기업 분석 리포트 – 2025년 판

대한민국​의 전통 증권사인 대신증권은 1962년 설립-이래 27년 연속 현금배당을 이어 온 대표적 배당주다.
2030년까지 ROE 10%·별도기준 배당성향 30-40%·자기자본 4조4,000억 원 달성을 골자로 하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로드맵을 공시하며 저평가 탈피를 모색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배당주에 특화된 고려신용정보식 내재가치 산정법과 함께 DDM·배수법·DCF를 병행해 적정주가를 다각도로 제시하고, 투자 매력도를 점검하였다.

1. 대신증권 증권정보

대신증권 증권정보
대신증권 증권정보
대신증권 네이버 재무표
대신증권 네이버 재무표
항목 수치
보통주 발행주식수 50,773,400주
우선주 발행주식수 40,372,618주
자사주 비중(보통) 25.12%
2025-07-17 종가 29,500원
시가총액(보통) 14,978억 원
최근 배당금 (2025년) 보통 1,200원, 시가배당률 7.1%

 

2. 대신증권 지배구조

대신증권 지배구조
대신증권 지배구조
  • 최대주주 1인(양홍석 부회장) 및 특수관계자 지분 17.90%.

  • 국민연금 5.44%, 우리사주조합 5.25% 보유.

  • 대규모 자사주 25.12%를 보유, 임원 성과급·ESOP로 활용 중

 

3. 증권산업 환경 분석 (상세 분석)

3.1 국내 증권업 트렌드

금리 하향 사이클 재개의 구체적 영향

2025년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0%에서 3.25%로 인하하며 금리 하향 사이클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증권사들의 수익 구조에 다음과 같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브로커리지 수익 증가 요인

  • 금리 하락으로 인한 유동성 공급 확대가 주식시장 거래대금 증가로 이어져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이 개선되고 있다

  • 개인투자자들이 예적금에서 주식시장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자금 재배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2025년 상반기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8.2조원을 기록했다

이자수익 중심으로의 포트폴리오 재편

  • 증권사들은 신용공여 사업 확대를 통해 이자수익 비중을 높이고 있다

  • 대신증권의 경우 2024년 이자수지 비중이 16.0%에서 2025년 상반기 18.5%로 증가했다

  • 종합금투사 지정을 통한 신용공여 한도 확대(자기자본의 200%)로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되고 있다

정부 밸류-업 드라이브의 세부 정책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의 구체적 내용

  • 자율 자사주 소각 제도: 2025년 5월부터 시행된 새로운 제도로, 이사회 결의만으로 자사주 소각이 가능해졌다

  • 비과세 배당 확대: 개인투자자 배당소득세 한시적 면제(2025~2027년) 정책이 증권주 재평가 촉매로 작용하고 있다

  • 공매도 규제 완화: 2025년 하반기부터 단계적 재개 예정으로 시장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

증권주 재평가 현황

  • 2025년 들어 증권업종 평균 PBR이 0.65배에서 0.78배로 상승했다

  • 대신증권은 여전히 0.64배로 업계 평균을 하회하고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이 크다

초대형 IB 경쟁 심화

자기자본 4조원 요건의 배경

  • 금융당국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현재 미래에셋증권(7.8조원), 메리츠증권(4.2조원)만이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대신증권의 자기자본 확대 전략

  • 현재 자기자본 1.8조원에서 2028년까지 4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주요 방안: ① 내부 유보 증가, ② 신주 발행, ③ 하이브리드 증권 발행 등을 검토 중이다

  • 연평균 20% 이상의 자기자본 증가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3.2 경쟁 지형 (심화 분석)

주요 경쟁사 밸류업 현황

메리츠증권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

  • 2024년 하반기부터 분기별 자사주 소각 정책을 시행하여 PBR이 0.8배에서 1.1배로 상승했다

  • 2025년 배당성향을 40%로 확대하며 시가배당률 6.5%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글로벌 확장

  • 해외 사업 비중이 30%를 넘어서며 수익 다변화에 성공했다

  • 자기자본 7.8조원으로 국내 1위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대신증권의 상대적 위치

  • PBR 0.64배로 여전히 업계 평균 0.8배를 하회하고 있다

  • 하지만 27년 연속 배당이라는 강점과 시가배당률 7.1%로 배당 매력도는 높다

  • 자기자본 규모에서는 업계 6위 수준이지만, **수익성(ROE 6.8%)**은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4.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 구조 (상세 분석)

4.1 부문별 수익 구조 심화 분석

부문 2024 매출 비중 핵심 드라이버
위탁매매(브로커리지) 43.7% 개인·기관 거래대금
IB·PI·DCM 27.0% ECM/DCM 주관, 사모투자
금융상품이익 21.3% ELS·채권운용
이자수지 16.0% 신용공여, 예탁금 이자

브로커리지 의존도가 여전히 40%를 웃돌아 거래대금 변동성에 민감하나, 종합금투사 지정을 통한 신용공여 한도 확대(자기자본의 200%)로 이자수익 레버리지가 커질 전망입니다.

위탁매매(브로커리지) 43.7%

수익 메커니즘

  • 개인 위탁매매: 전체 브로커리지 수익의 65%를 차지하며, 주식·파생상품 거래 수수료가 주요 수익원이다

  • 기관 위탁매매: 35%를 차지하며, 대량 거래에 따른 수수료 할인이 적용되지만 안정적 수익을 제공한다

  • 평균 수수료율: 개인 0.015%, 기관 0.008% 수준으로 업계 평균과 유사하다

변동성 요인

  •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이 10% 증가할 때 브로커리지 수익은 약 8% 증가하는 탄력성을 보인다

  • 2025년 상반기 거래대금 증가(15%)로 브로커리지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IB·PI·DCM 27.0%

투자은행(IB) 사업

  • ECM(주식발행시장): IPO·유상증자 주관업무에서 시장점유율 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DCM(채권발행시장): 회사채 인수업무에서 연간 3-5조원 규모의 딜을 처리하고 있다

  • M&A 자문: 중견기업 대상 M&A 자문에서 연간 10-15건의 거래를 성사시키고 있다

사모투자(PI) 사업

  • 운용자산: 약 8,000억원 규모의 사모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 수익구조: 운용보수 1.5-2.0%와 성과보수 20%를 통해 안정적 수익을 창출한다

금융상품이익 21.3%

ELS(주가연계증권) 운용

  • 발행잔고: 약 1.2조원 규모로 업계 5위 수준이다

  • 수익구조: 발행 시 구조화 마진 2-3%와 만기까지 운용수익을 인식한다

  • 리스크 관리: 델타 헤지를 통해 시장 위험을 중립화하고 있다

채권운용 사업

  • 운용규모: 자기계정 채권운용 약 2조원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 수익률: 연평균 4-5%의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자수지 16.0%

신용공여 사업

  • 신용거래: 개인투자자 대상 주식 신용거래 잔고가 약 5,000억원이다

  • 대출 금리: 연 6-8% 수준으로 조달금리 대비 2-3%p의 스프레드를 확보하고 있다

예탁금 이자수익

  • CMA 잔고: 약 3조원 규모로 금리 상승 시 이자수익 증가 효과가 크다

  • 운용 방식: 단기 채권·MMF 등 안전자산 중심으로 운용하고 있다

4.2 수익구조 변화 전망

종합금투사 지정 효과

신용공여 한도 확대

  • 기존 자기자본의 100%에서 200%로 확대되어 신용공여 잔고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 이를 통해 이자수익 비중을 16%에서 25%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예상 수익 증가 효과

  • 신용공여 한도 확대로 연간 약 300억원의 추가 이자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 이는 현재 순이익 대비 약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수익 다변화 전략

해외사업 확대

  •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진출을 통해 해외 수익 비중을 10%까지 높일 계획이다

  • 현재 해외 수익 비중은 3% 수준으로 확대 여력이 크다

디지털 혁신

  • 로보어드바이저·AI 투자 플랫폼 도입으로 수수료 수익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 디지털 채널 거래 비중을 현재 75%에서 85%로 높여 비용 효율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5. 최근 실적 및 펀더멘털

5.1 손익 추이

연도 매출액(억원) 영업이익(억원) 당기순이익(억원) EPS(원)
2021 36,353 8,855 1,482 1,707
2022 42,313 2,535 1,159 1,336
2023 38,546 1,613 1,498 1,540
2024E 40,939 836 1,448 1,607
2025E 42,240 2,240 2,670 2,929
2026E 43,560 2,136 1,780 1,953
2027E 45,750 2,475 2,065 2,227
  • 2023년: 브로커리지 부진과 일회성 계열사 배당 효과 소멸로 수익성 일시 약화.

  • 2024년: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저점이나, 이후 반등 본격화 전망.

  • 2025~2027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EPS 또한 2025년 2,929원, 2027년 2,227원까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5.2 재무 안정성

  • 영업용순자본비율(NCR) 450% 내외로 동종사 평균(300%)을 상회.

  • 부채비율 68.0%로 증권업 평균 대비 양호.

6. 내재가치 및 목표주가 산정

6.1 배당주 모델

공식:

배당주 모델 가중치
배당주 모델 가중치

가중평균 EPS 산정(3:2:1)

  • 2025E: 2,929원

  • 2026E: 1,953원

  • 2027E: 2,227원

2027년 BPS(순자산가치)

  • 2027E BPS: 51,131원

→ 2027년 기준 내재가치: 36,829원

6.2 배당할인모형(DDM)

  • 최근 DPS: 1,200원 (보수적, 변화 없다고 가정)

  • 지속 성장률(g): 2%

  • 요구수익률(k): 8.5%

→ 2027년 DDM 내재가치: 18,462원 (배당정책 및 성장률 변화 감안 없이 동일)

6.3 P/B 배수법

  • 목표 P/B 0.9배(국내 증권 대형주평균).

  • 2027E BPS: 51,131원

  • 목표가 = 0.9 × 51,131 = 46,018원 (업사이드 +15.3%).

→ 2027년 기준 P/B 배수법 목표가: 46,018원

6.4 DCF 요약

6.4.1. 분석 전제

  • 할인율(자기자본비용): 9.0%

  • 영구성장률: 2.0%

  • 예측기간: 2025~2029년 (5개년)

  • 발행주식수: 50,773,400주

6.4.2. 핵심 Input Table (캡처 수치 기반 FCFE 산정)

연도 순이익 (억원) 감가상각비 (예상) 운전자본 변동(억원) CAPEX(자본지출, 억원) FCFE(억원)
2025E 2,670 320 (추정) -349 349 2,292
2026E 1,780 340 (추정) -2,267 2,267 1,120
2027E 2,030 360 (추정) 2,030+360

캡처본 수치는 투자현금/재무현금 등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항목이 있으므로, 대표적 순이익 및 B/S 흐름, CAPEX를 중심으로 직접적 FCFE를 추정하였습니다.

6.4.3. DCF 현금흐름 테이블

연도 추정 FCFE (억원) 할인계수(9%) 현재가치 (억원)
2025E 2,292 0.917 2,101
2026E 1,120 0.842 943
2027E 2,390 0.773 1,848
2028E 2,475 0.710 1,757
2029E 2,855 0.650 1,856
  • 2029E 이후 Terminal Value:
    2029년 FCFE 2,855억 × (1+g) = 2,912억 (g=2%)

    2029년 현재가치: 0.650 × 41,600 = 27,040억원

6.4.4. DCF 자기자본가치 산정

  • 예측기간(2025~29) FCFE현재가치 합: 8,505억원

  • Terminal Value 현재가치: 27,040억원

  • DCF 총 자기자본가치: 35,545억원

  • 주당 내재가치:

6.4.5. 민감도 분석 참고

할인율\영구성장률 1.5% 2.0% 2.5%
8.5% 62,500 77,200 89,100
9.0% 60,900 70,000 80,900
9.5% 57,500 65,200 75,400

 

7. 투자 매력도 종합 평가

평가 항목 코멘트 Score
배당 안정성 27년 연속 현금배당, 7%대 시가배당률 유지 ★★★★☆
밸류-업 모멘텀 비과세 배당·ROE 10% 선언, 자기자본 확대 계획 ★★★★☆
수익 변동성 브로커리지 의존 높고 거래대금 사이클 민감 ★★☆☆☆
재무 건전성 NCR 450%, 부채비율 68%로 안정 ★★★★☆
주가 저평가 PBR 0.64배·내재가치 대비 15-21% 할인 ★★★☆☆

평점: 17 / 25 (투자매력 Good)

8. 리스크 체크리스트

  1. 시장 거래대금 급감 – 영업이익의 40% 이상이 브로커리지 수수료에 기반.

  2. 자사주 활용 불확실성 – 소각 대신 임원 보상에 활용 시 소액주주 가치 희석 우려.

  3. IB 수수료 경쟁 – 초대형 IB들과의 딜 경쟁 심화로 마진 압력 가능.

9. 결론 및 투자 판단

내재가치 산정 방식 2027년 기준 내재가치/목표가(원)
고려신용식(배당주 공식) 36,829
DDM(배당할인모형) 18,462
P/B 배수법 46,018
DCF 70,000 기준으로 민감도에 따라서 57,500 ~ 89,100
  • 근거 있는 실적 회복, 재무안정성, 배당 매력이 장기 투자 포인트.

  • 2027년 기준 밸류에이션 지표들이 모두 성장 추세를 반영, 특히 자기자본 증가는 중장기 저평가 해소 논리를 강화.

  • 보수적 편입은 ~36,000원, 성장/밸류업 기대시 46,000원 이상 구간까지 확대 가능.

고배당·저PBR 특성을 지닌 대신증권은 배당주 모델 내재가치 36,829원, 배수법 46,018원, DCF 70,000원으로 **밸류-업 사이클 전개 시 34,000원±15%**가 현실적 목표대역이다.
현 주가(29,500원) 기준 15-21%의 가격 매력과 7%대 현금배당을 동시에 제공하여 중위험-중수익 배당 포트폴리오에 적합하다.

단기 변동성(거래대금·IB 딜 경쟁)이 불가피하므로 1) 자사주 활용 정책 공개, 2) 2026년까지 ROE 10% 진척도, 3) 초대형 IB 인가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분할매수 전략을 권고한다.

 

참고

배당주를 고르는 조건 5가지

배당주 투자 방법 키포인트 2가지

‘비과세 배당’ 앞세운 대신證, 주가 상승 견인할까

다른 기업 분석 자료가 보고 싶다면 하기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삼성화재 기업 분석 – 회사 소개, 주가 전망, 실적

HL만도 기업 분석 – 2024년 주가 전망, 자율 주행, 로봇, SW 통합 솔루션

LS ELECTRIC 기업 분석 – 2025년 주가 분석

가치 평가 방법이 궁금하다면, 하기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NPV ,주식 가치 평가 (Valuation) _현금 흐름 할인법 (DCF Method) 1탄

FCF, 주식 가치 평가 (Valuation) _현금 흐름 할인법 (DCF Method) 2탄

WACC, 주식 가치 평가 (Valuation) _현금 흐름 할인법 (DCF Method) 3탄

배수법(Multiple Method), 주식의 가치 평가 방법(Valuation) 3가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